어릴 적이었습니다.
예닐곱 살 쯤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절에 갔던 기억이
대웅전에서의 희미한 향의 냄새처럼
아직까지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어린 나이에
어머니가 펼쳐보고 있는
금강경이 무슨 소리인지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온통 한자에다가
한글로 독음이 달려있기는 했지만
독음만 가지고는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지요.
세월이 흘러 흘러
저는 이제
서른 초반의 나이에 있는 남자입니다.
여전히
한자는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그러나 이제는
금강경의 의미만은
어렴풋하게 느낍니다.
최근에는 금강경의 의미를 조금씩 이해하고 있습니다.
아이폰이 저에게 큰 도움을 주었지요.
한자는 기본으로 표시되어있고
쉬운 우리말과 글인 한글로 독음과 설명도 있습니다.
거기에 영어로도 옮겨져 있지요.
금강경의 제 22장
"진리는 얻을 것 없다"
영어와 한글을 번갈아 읽어보세요.
'도서관과 책 > 책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책 입문용 단말기, 교보 스토리K VS 인터파크 비스킷 (0) | 2012.05.09 |
---|---|
STORY K HD 출시, 기존 고객님에게는 어떤 의미? (0) | 2012.05.09 |
남과 다른 나만의 대기화면의 스토리K (스토리K 1.27 업데이트) (0) | 2012.05.09 |
전자책? 전자잉크? (0) | 2012.05.09 |
아이패드와 전자책 iriver story K (0) | 201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