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제품/Software

디아블로3 용어(약어, 은어)정리

디아블로라는 단어를 들으면
이렇게 멋진 람보르기니를 떠올리는 분도 물론 계실 겁니다.


그러나, 오늘 제가 이야기하는 디아블로는
미국 블리자드에서 만든 게임입니다.

한국과도 인연이 깊은 회사죠. 
스타크래프트도 만들어 엄청나게 돈을 벌었으니까요.


 블리자드에서 1998년 3월 출시해서 현재까지도 판매중인 스타크래프트


아주 오래전이었습니다. 학생시절 구독하던 PC잡지를 통해 디아블로 1을 알게되었고 체험판(데모)을 경험해보고 너무나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거 재미있어도 너어무~~~! 재밌는 겁니다. 

아직도 그 음산한 마을, 트리스트럼에서 울려퍼지던 띠리링~ 하며 촤악 가라앉는 기타 선율이 귓가에 들리는 듯 하네요. 


감상은 이쯤하고,
저는 학창시절의 아련한 추억을 잊지 못해 또다시 성역에 빠져들었습니다.
그런데, 게임 게시판에 가보면 도대체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는 경우가 많았어요.

"이 템은 공속과 쌍극이 어떻고, 민뎀이 어떻고, 순딮이 얼마다 등등... "
이제 갓 시작한 분들에게 이런 용어의 낯설음은 또 하나의 장벽으로 다가옵니다.
제 레벨이 이제 60에 정복자 레벨 17을 달리고 있습니다.
이제 완전 초보 시절은 벗어났다는 생각에 용어의 뜻을 몰라 헤매던 기억을 되살려
디아블로3에 입문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부족하나마 용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Ctrl+F 하셔서 찾으시면 더욱 편리합니다~!

1. 가장 많이 쓰이는 단어는 공격력 혹은 무기와 관련한 용어입니다.


1. 1. 딥, 딮, 딜, 뎀지, 뎀쥐, 초뎀, 디피
모두 초당공격력, DPS (Damage Per Second)을 뜻합니다.


1. 2. 순딮, 순딜, 순딥, 순디피
추종자(기사단원, 요술사, 건달) 없이, 공격력을 몇 % 높여주는 스킬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의 순수공격력을 말합니다. 당연히 아이템을 장착하여 높아진 것도 순수공격력에 들어갑니다.


1. 3. 뻥디피, 버프 후
추종자, 각종 스킬 사용(버프) 등을 통해 높아진 공격력


1. 4. 극확: 극대화 확률, 기술을 사용하여 적을 공격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확률.
예) 극확 20% 라고하면, 10번 공격 중에 2번은 크리티컬을 날릴 확률이라는 것


1. 5. 극피: 극대화 피해, 극대화시(적중시) 최대 데미지를 높여주는 %입니다.
예) 극피 100%: 극대화 공격시 주는 최대데미지가 300일 경우 100%가 추가되어 600까지 피해를 주게 됩니다.
그래서, 극확과 극피의 수치가 높을수록, 그것도 함께 있다면 아이템의 가치가 많이 올라갑니다. 


1. 4. 생훔, 생흡, 흡혈 (Life of Steal)
적에게 준 피해의 몇 %를 생명력으로 흡수하는 것. 
예) 적에게 준 피해의 3%를 생명력으로 흡수: 적에게 100의 피해를 주면 나의 생명력이 3만큼 회복됩니다. 레벨이 높아지고 공격력이 높아질 수록 유리하겠죠? 적에게 10만의 피해를 준다면 나의 생명력은 3천이 회복되니까요. 물약이나 생명의 구슬이 필요없게 되죠. 만약 무기에 이런 속성이 붙어있다면 좋은 아이템입니다.


1. 5. 적생, 적중생 (Life of Hit)
적에게 적중시(극대화피해를 줬을 경우) 생명력 회복
생흡, 흡혈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이건 비율이 아니라 정해진 수치이기 때문에 수치가 높아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극대화가 터지지 않는다면 소용없지요.


1. 6. 처생, 적처생 (Life of Kill)
적을 처치한 경우 생명력 회복하는 옵션입니다. 
보통 생흡과 적생을 선호합니다. 몹에게 때릴 때마다 생명력이 회복 되니까요.

그에 반해 처생은 몹이 쓰러질때까지는 생명력이 회복되지 않으니 약간 불리한 편이죠.


2. 방어와 관련한 용어
2. 1. 모저: 모든 저항(All Resistance)을 말합니다. 방어도(Armor)와 함께 높을수록 좋지만, 600 정도만 넘기면 양호합니다. 그 이상은 투자 대비 효과가 감소합니다. 올리면 좋지만 다른 속성을 함께 고려하다보면 올리는 일이 쉽지 않습니다.

2. 2. 방어도: 저항과 비슷한 피해 감소율(Damage Reduction)을 높여주는 속성입니다. 보통 3천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불지옥에서 쉽게 죽는다면 모저와 함께 방어도를 점검해봐야 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적과 직접 대면하는 일이 많다면 방어도를 4천 이상 올리면 좋습니다.

2. 3. 비저, 독저, 화저, 물저: 각 무기 속성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전 저항, 독 저항, 화염 저항, 물리 저항을 뜻하며 수도사의 경우 가장 높은 저항수치로 통일하는 "만물의 조화:라는 스킬이 있는데, 이를 위해 하나의 저항만을 계속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모저를 올리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라고 합니다.

2. 4. 밸런스: 공격력과 저항, 활력과 방어도, 이동 속도 등 각종 속성을 골고루 균형있게 키움. 축구선수로 치자면 올라운드 플레이어입니다. 공격과 수비가 다 되는 훌륭한 선수. 하지만 이것도 쉬운 일은 아니죠.

2. 5. 스탯 약어: 힘민지, 민지활, 힘지활...

민지활: 민지양이 쓰는 활이 아닙니다. 민첩(Dex), 지능(Intel), 활력(Vital)의 첫 머리글을 딴 것입니다. 민첩 속성을 근간으로 하는 수도사와 악마사냥꾼이 중요시하는 속성입니다.

힘지활: 마찬가지입니다. 힘(Str), 지능(Intel), 활력(Vital)의 첫 글자들입니다. 마법사와 부두술사같은 지능 속성 캐릭터들이 선호하는 스탯입니다. 힘은 야만용사에게 중요한 속성인데, 다른 캐릭터들에게는 방어도를 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전설레기: 전설 + 쓰레기, 전설템이긴 한데, 실용성이 없어서 경매장에 올릴 가치가 없는 전설 아이템을 말합니다. 대부분 대장장이에게 분해를 시켜서 유황으로 만들거나 상점에 처분하거나 수집하거나 나눔을 하기도 합니다.

주스탯: 각 캐릭터에게 중요한 속성을 뜻합니다. 마법사의 경우에는 지능, 야만용사에게는 힘이 되겠지요.

포니방: 알록달록 동산. 젖소방과 비슷한 방입니다. 소몰이 지팡이를 만들면 들어갈 수 있는 방입니다. 소몰이 지팡이는 각 난이도별로 다 만들어야 불지옥 포니방까지 들어갈 수 있습니다.


333: 방어도 3천, 체력 3만, 공격력 3만을 뜻합니다. 이 정도 되면 불지옥 3막을 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심해야 합니다.


3. 협동(파티) 플레이 관련

3. 1. 팟, 팟플, 파티플: Party Play 를 말합니다. 여럿이서 같이 하는 방식입니다. 최대 4인까지 가능합니다. 

4명이 다차면 "풀파"라고 합니다. 인원 수가 늘어날 수록 적도 강해지지만 플레이어 1인당 상대하게 되는 적의 체력은 75%로 감소하게 되니 오히려 더 이득입니다. 다른 영웅의 버프를 받아 강력해지기도 하기 때문에 풀파티가 솔로 플레이보다 훨씬 재밌습니다. 혼자할 땐 죽으면 다시 달려와야 하지만, 파티에선 죽었을 때 살려주기도 하니 시간상으로도 이득이죠. ^^

3. 2. 깃팟 : 파티원은 마을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운전수"가 호출하면 운전수의 깃발을 타고 몹을 처치하고 이후 다시 포탈을 타고 마을로 돌아오는 방식의 협동 플레이. 

3. 3. 운전수: 체력이나 저항이 강하고 이동속도가 빠른 플레이어가 맵을 이리저리 누비며 파티원들을 부르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 근접피해를 30% 적게 받는(잘 죽지않는;;) 야만용사(질휠바바)나 수도사가 많습니다. "운수도사" 혹은 "운전수도"라고도 합니다. 

3. 4. 버스: 높은 레벨의 플레이어가 낮은 레벨의 플레이어 경험치를 높여주기 위해 빠르게 사냥을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마인법사가 많고 부두나 수도사도 많습니다. 더 빠른 경우는 "택시"라고도 합니다.

3. 5. 열쇠작: 열쇠 작업이라고 합니다. 1.05 패치 이후로 새롭게 등장한 즐길거리(Contents)로 선보였습니다. 1, 2, 3막의 열쇠지기라는 고유한 괴물이 등장하는데 처치 후에 일정 확률로 열쇠를 떨어트립니다. 이 열쇠를 이용하면 "우버"를 할 수 있습니다.

3. 6. 우버팟: 강화된 보스몹을 처치하는 협동 플레이입니다. 1,2,3막의 열쇠지기를 모두 처치하여 얻은 열쇠를 1막의 마을에 가져가서 여는 퀘스트입니다. 보상으로 지옥불 반지가 주어집니다만 일부는 "희망 고문"이라고도 합니다.

*주로 많이 쓰이는 용어 위주로 정리하였고 앞으로도 계속 추가될 예정입니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본문 내용을 수정할테니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